[공무원 한국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의열단
[대한민국 임시 정부] 3.1 운동 직후,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독립운동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각지에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연해주에는 대한 국민 의회(대통령 손병희, 국무총리 이승만), 상하이에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신한 청년당 중심, 국무총리 이승만), 국내에는 한성 정부(집정관 총재 이승만, 국무총리 총재 이동휘)가 있었다. 4월 신한 청년당을 중심으로 임시 의정원이 구성되었으며, 11일날 ‘대한민국임시헌장’을 반포하고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해 임시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 임시의정원을 주체로 하여, 1919년 9월 11일, 본부를 상하이로 하고, 임시 의정원(입법부), 국무원(행정부), 법원(사법부)의 3권 분립 체제를 둔 최초의 민주 공화제 정부가 수립되었다. (대통령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
2020.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