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적7

[공무원 한국사] 조선 전기 역대 왕 업적 [조선 전기] 1392년, 도평의사사를 장악하고 이성계가 공양왕의 왕위를 물려받았다. 1393년 국호를 조선으로 삼고, 1394년 한양으로 천도하였다. 경복궁, 좌묘우사, 관아, 4대문, 시장 등을 건립하였다. 1393년, 공양왕 때 병권 장악을 위해 설치했던 삼군도총제부를 ‘의흥삼군부’로 개편했다. 도첩제를 실시하였다. 조준과 하륜이 ‘경제육전’을 편찬하였다. 정도전의 ‘경제문감’과 헷갈리지 말자. ‘조선왕조의궤’의 편찬을 시작하였다. 1395년,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제작하였다. 1392년, 혜민국을, 1397년, 제생원을 세웠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에서 방원이 사병을 동원하여 동생 방석, 방번과 정도전, 남은 등을 제거하였다. 개경으로 천도하였다.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개편하고, 중추원 .. 2020. 4. 3.
[공무원 한국사] 고려 후기 역대 왕 업적 김관의가 편년통록을 편찬하였다. 정중부의 반란이 일어났다. 1. 정중부 집권기(1170~1179) 1172년, ‘서북 지역 민란’이 일어났는데, 이는 조위총의 난과 연결되었다. 1173년,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이 일어났다. 1174년, 서경 유수 ‘조위총의 난’이 일어났다. 1174년, 교종 승려들에 의해 ‘귀법사의 난’이 일어났다. 1176년, 망이, 망소이가 신분 해방을 주장하며 ‘공주 명학소의 난’이 일어났다. 공주 명학소가 충순현으로 승격되면서, 향, 부곡, 소가 해방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2. 경대승 집권기(1179~1183) 1182년, 주현군(군인)을 중심으로 관노들이 함께 봉기한, ‘전주 관노의 난’이 있었다. 3. 이의민 집권기(1183~1196) 1193년, ‘김사미, 효심의.. 2020. 4. 2.
[공무원 한국사] 고려 초기~중기 역대 왕 업적 918년,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송악(개경)으로 천도하며 국호를 고려라고 하고, 연호를 천수로 바꾸었다. 북중국 5대 나라와 교류하고, 신라에 우호정책을 하였다. 고구려 계통의 발해를 멸망시킨 거란은 적대시하며 고구려 계승의 정통성을 확보하였다. 927년, 공산전투(대구 팔공산)에서 후백제가 승리하였다. (견훤이 신라 침공하여 경애왕 살해하자 신라가 고려에 구원 요청 했으나 대패하였다.) 930년, 안동전투(경북 안동)에서 고려가 승리하면서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934년, 발해 세자 대광현이 고려에 투항하였다 935년, 신검에 의해 금산사에 유폐된 견훤이 고려로 도망하여 투항하였다. 935년, 신라의 경순왕 김부가 고려에 투항하였다. 936년, 선산전투(일리천전투, 경북 구미 선산)에서 고려가 승리하.. 2020. 4. 1.
[공무원 한국사] 통일 신라 역대 왕 업적 [통일신라] 681년, 김흠돌의 모역 사건을 계기로 귀족 세력의 숙청이 일어났다.682년, 유교 정치 이념 확립을 위해 예부 소속으로 국학을 설치하였다.안승 경주 이주 신라에 편입하였다.687년, 관료전을 지급하고, 689년, 녹읍을 폐지하였다.686년, 공장부와 예작부를 설치하여, 집사부 이하 14관부 체제를 완성하였다.687년, 중대 왕실의 정통성을 수립하는 5묘제를 확립하였다.689년, 귀족들의 근거지인 금성(경주)를 벗어나 달구벌(대구)로의 천도를 시도하였다.9주 5소경의 지방제도를 완성하였다. (9주에는 도독을, 5소경에는 사신을 파견하였다. 5소경은 수도가 동남에 치우친 것을 보완하기 위한 행정상 요지이다.)중앙군 9서당과 지방군 10정을 편성하였다.문무왕릉과 감은사, 만파식적 등으로 왕권이 .. 2020.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