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한국사] 무장 독립 투쟁
[무장 독립 투쟁] 국내에서도 1919년 천마산대, 1920년 보합단, 1920년 구월산대 등이 만주의 독립군과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무장 항일 투쟁을 이어 나갔다. 국외에서는 3.1 운동을 계기로 조직적인 무장 독립 전쟁의 필요성을 주장되었다. 북간도(북만주)에 대한 독립군(홍범도, 1919), 북로 군정서군(김좌진, 대한 정의단이 1919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권고를 받고 북로 군정서로 개칭하였다.), 국민회군(안무, 1919), 군무도독부군(최진동, 1919)가 조직되었다. 서간도(남만주)에는 서로 군정서군(이상룡, 1919), 대한 독립단(박장호, 1919), 광복군 사령부(조병준, 1920), 광복군 총영 등이 조직되었다. 1920년 6월,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을 중심으로 북간도 독립군 부대..
2020.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