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5

[조선] 태종(1400~1418) 공신과 외척 제거 양전 사업(20년마다), 양안 작성(토지대장) 호적 작성(3년마다) 사원 혁파(242개 사원을 제외하고, 토지와 노비를 몰수함.), 도첩제 강화, 불교 배척 1401 사병을 혁파하고 삼군부에 집중 도평의사사 폐지 사간원 독립 사섬서 설치(저화(지폐) 주조, 외거노비가 바치는 면포 관장) 별사전(승직, 지리업자에게 지급되던 토지) 혁파 신문고 설치 1402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김사형, 이무, 이회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지도) 팔도도(이회, 조선시대 최초의 지도) 1403 주자소 설치, 계미자 제작 『동국사략』(권근, 단군조선~삼국시대 역사서) 1405 창덕궁 건립 1406 자녀안(세 번 이상 개가한 여성의 이름을 기록하여, 가문과 자손에게 불이익) 1413 호패법 실시(16세 이상의 남성).. 2021. 1. 16.
[조선] 정종(1398~1400) 1399 개경 천도 집현전 설치(경연기구X, 장서와 경적을 관리하는 기구O, 보문각으로 개칭) 분경금지법(하급관리가 상급관리의 집을 방문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법) 1400 제2차 왕자의 난, 방원(정안군)을 세자로 책봉. 의정부( 2021. 1. 16.
[조선] 태조(1392-1398) 1392 조선의 개창, 1293년에 국호를 조선으로 칭함.(고조선 계승, 명나라 사대정책) 1392 혜민국(고려 예종 때 백성의 질병을 고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가 계승됨. 세조 때 혜민서로 개칭됨.) 1393 의흥삼군부 설치(공양왕 때의 삼군도총제부를 개편함.) 1394 한양 천도 경복궁, 좌묘우사(왕의 시야 기준으로 좌 종묘, 우 사직단), 관아, 4대문(동 흥인지문, 서 돈의문, 남 숭례문, 북 숙정문) 건립 1394 정도전의 『조선경국전』 편찬 1394 종계변무 사건(태조 이성계가 이인임의 아들로 잘못 기록된 중국 측 기록의 수정을 요구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음, 선조 때 가서야 수정됨.) 1395 천상열차분야지도 제작 1397 제생원(고려의 제위보 같은 서민 의료기관, 조선 세조 때 혜민국과 .. 2021. 1. 15.
[공무원 한국사] 조선 중기~후기 역대 왕 업적 [조선 중기~후기] 하멜이 표류하였다. 나선정벌이 있었다. 충청과 전라로 대동법이 확대되었다. 1651년, 설점수세법을 시행하였다. 1653년, 양척동일법을 시행하였다. 1655년, 노비추쇄도감을 설치하였다. 신속이 ‘농가집성’을 편찬하였다 김육이 시헌력을 도입하였다. 1656년, 유형원이 ‘동국여지지’를 편찬하였다. 북학론이 대두하였다. 1659년, 기해예송, 1674년, 갑인예송이 일어났다. 1666년, 함경도로 대동법이 확대되었다. 1667년, 허목이 동사를 편찬하였다. 1670년, 유형원이 반계수록을 편찬하였다. 1680년, 남인인 영의정 허적이 유악남용 사건으로 불신을 샀는데, 서인들이 허적의 서자 허견이 모반을 꾀했다고 고하여(삼복의 변), 경신환국이 일어났다.☞ 이후 회니시비(서인 송시열과 .. 2020.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