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한국사] 항일의병운동, 애국계몽운동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대한 반발로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유인석, 이소응 등의 유생들이 주도한 을미의병은, 아관파천 이후 고종의 해산 권고가 있자 자진 해산하였다. -동학 농민 운동의 잔여 세력이 참여한 농민 무장조직인 활빈당이 활동하였다. 방곡을 실시하여 빈민을 구제할 것, 시장에 외국 상인의 출입을 막을 것, 금광의 채굴을 엄금할 것, 철도 부설권을 허락하지 말 것 등을 주장하는 대한 사민 논설(활빈당 강령)을 발표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적으로 체결되자 을사의병이 봉기하였다. 양반 유생인 최익현, 민종식 외에도, 최초의 평민 의병장인 신돌석을 시작으로 다수의 평민 출신 의병장이 출현하였다. -1907년, 고종 강제 퇴위, 군대 해산과 시위대 대대장 박승환의 자결을 원인으로 정..
2020.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