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8

[공무원 한국사] 통일 신라 역대 왕 업적 [통일신라] 681년, 김흠돌의 모역 사건을 계기로 귀족 세력의 숙청이 일어났다.682년, 유교 정치 이념 확립을 위해 예부 소속으로 국학을 설치하였다.안승 경주 이주 신라에 편입하였다.687년, 관료전을 지급하고, 689년, 녹읍을 폐지하였다.686년, 공장부와 예작부를 설치하여, 집사부 이하 14관부 체제를 완성하였다.687년, 중대 왕실의 정통성을 수립하는 5묘제를 확립하였다.689년, 귀족들의 근거지인 금성(경주)를 벗어나 달구벌(대구)로의 천도를 시도하였다.9주 5소경의 지방제도를 완성하였다. (9주에는 도독을, 5소경에는 사신을 파견하였다. 5소경은 수도가 동남에 치우친 것을 보완하기 위한 행정상 요지이다.)중앙군 9서당과 지방군 10정을 편성하였다.문무왕릉과 감은사, 만파식적 등으로 왕권이 .. 2020. 3. 31.
[공무원 한국사] 신라 역대 왕 업적 [신라] 경주 지역 토착민 세력과 유이민 집단의 결합으로 박혁거세가 건국하였다. 김씨가 독점적인 왕위 형제 상속을 시작하였다. 왕호로 마립간을 사용하였다. (순서: 거서간-차차웅-이사금-마립간-왕) 낙동강 동쪽 진한 지역을 장악하였다. 고구려를 통해 전진과 수교하였다.(377) 사신 위두를 전진에 파견하였다.(382) 400년, 고구려의 원조로 왜구를 격퇴하였다. 이후 고구려의 내정간섭이 시작되었다. 경주 호우총에서 광개토대왕릉비 호우명 그릇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광개토 대왕 장례식이 끝나고 신라 사신이 받아온 것으로 추측된다. 왕위 부자 상속을 시작하였다. 433년, 나제동맹을 맺었다. 457년, 묵호자에 의해 민간에 불교가 전래되었다. 부족적인 6촌을 행정적인 6부로 개편하였다. (cf. 고구려에선 .. 2020. 3. 30.
[공무원 한국사] 백제 역대 왕 업적 [백제] 고구려 계통의 유이민(온조 세력)과 한강 유역의 토착세력이 결합하여 하남 위례성에서 백제를 건국하였다. 관등제(6좌평, 16관품제)와 3색 관복제(자,비,청)를 실시하였다. 삼국 중 가장 먼저 율령을 반포하였다. 한강 유역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왕위의 형제 상속을 시작하였다. 왕과 귀족이 모여 정사를 보는 관청인 남당을 설치하였다. 낙랑군과 대방군을 공격하였다. 중국 서진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마한 전 지역을 통합하고 요서로 진출하였다.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고 황해도로 진출하였다. 산둥반도, 요서, 일본 규슈로 진출하였다. 왕위 부자 상속을 시작하였다. 박사 고흥이 역사서인 ‘서기’를 편찬하게 하였다. 동진과 수교하고, 일본에 칠지도를 하사하였다. 아직기와 왕인을 왜에 보내어 선진 문물인 한.. 2020. 3. 29.
[공무원 한국사] 고구려 역대 왕 중요 업적 [고구려] 부여 계통 유이민 세력(주몽)과 압록강 유역의 토착민 세력이 결합하여 환인 졸본성(오녀산성)에서 고구려를 건국하였다. 졸본에서 고구려를 건국하고, 비류국(송양), 행인국, 북옥저 등을 정복하였다. 계루부 고씨가 왕위의 형제상속을 시작하였다. 옥저를 정복하였다. (56년) 현도군을 공격하여 요동을 공략함으로써 만주 지방으로 세력을 확대하였다. 왕위의 부자 상속을 시작하였다. 을파소를 국상으로 삼고, 그의 건의로 빈민구제정책인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194) 태조왕 때 시행한 부족적 5부 체제를, 행정적 5부 체제로 변경하였다. 위를 견제하기 위해 오와 통교하였다. 242년, 중국과 낙랑의 연결통로 차단을 위하여 서안평을 공격하였다. 244년, 위의 관구검이 반격하였다. (‘관구검기공비’에는 24.. 2020. 3. 28.